목차
1.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
2. 최저시급 월급 계산 방법
3. 25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4. 계산기 활용법
최저시급은 근로자가 받아야 할 최소한의 임금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매년 조정하는데요.
2025년에 인상되면서 월급, 주휴수당, 실수령액 등이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과 월급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법, 최저시급 계산기 활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
2025년 : 시간당 10,360원
이는 24년 최저시급(9,860원) 대비 5.1% 인상된 금액입니다.
연도별 변화
인상은 근로자의 소득 증가로 이어지지만,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경제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2. 최저시급 월급 계산 방법
월급 계산 공식
월급 = 최저시급 × 월 소정근로시간
여기서 "월 소정근로시간"이란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계산한 총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월 소정근로시간 계산 (주 40시간 근무 기준)
(40시간 × 52주) ÷ 12개월 = 174시간
2025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
월급 = 10,360원 × 174시간 = 1,802,640원
하지만 여기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월급이 더 올라갑니다.
3. 2025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 주어진 근무일을 모두 출근할 것
주휴수당 공식
- 1일 근로시간 × 최저시급
- 8시간 × 10,360원 = 82,880원 (1주일 기준)
월 주휴수당 포함 월급 계산
- 주휴수당 포함 월급 = (월급 + 월 주휴수당)
- 1,802,640원 + (82,880원 × 4.34주) = 2,162,410원
4. 계산기 활용법
월급을 계산할 때는 최저시급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온라인 최저시급 계산기 사용법
1.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계산기 이용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제공
- 시급, 근무시간 입력하면 자동으로 월급 계산 가능
2.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 검색
- "최저시급 계산기" 검색 후 간편하게 이용
-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 확인
3. 국민연금, 건강보엄, 고용보엄 등 4대 보엄료 공제 후 실제 수령 월급도 계산 가능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 – 신청 방법, 대상 품목, 유의사항 총정리 (0) | 2025.02.09 |
---|---|
희망사다리 장학금 완벽 정리! 취업·창업 대학생을 위한 필수 정보 (0) | 2025.02.08 |
주휴수당 완벽 정리! 지급조건부터 계산법까지 한눈에 (0) | 2025.02.07 |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모든 것! 정책자금 홈페이지부터 활용 팁까지 (0) | 2025.02.06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 개편안 한눈에 보기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