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2. 발급 대상 및 지원 금액
3. 발급 방법
4. 사용 기간 및 충전일
5. 사용처 안내
6. 온라인 사용처
7. 잔액 조회 방법
8. 재발급 절차
9. 주의사항
10. 문화누리카드란?
문화누리카드는 저소득층의 문화생활 향유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복지 카드로, 매년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지원금이 인상되고 사용처가 확대되는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 문화누리카드의 발급 대상과 방법부터 사용처, 잔액 조회, 재발급 절차까지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2025년에는 문화누리카드에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습니다:
- 지원금 인상: 전년 대비 1만 원이 인상되어 1인당 연간 14만 원이 지원됩니다.
- 사용처 확대: 기존의 문화예술, 국내 여행, 체육 분야 외에도 바둑과 낚시 분야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2. 발급 대상 및 지원 금액
발급 대상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분들이 발급 대상입니다:
- 연령: 만 6세 이상 (201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수급 자격:
-기초생활수급자: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법정 차상위계층: 장애수당 수급자, 저소득 한부모가족 등
지원 금액
1인당 연간 14만 원: 2025년부터 지원금이 14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3. 발급 방법
다음의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1.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홈페이지
2. 모바일 앱: 문화누리카드 앱을 다운로드하여 신청
문화누리카드 어플 다운하기
방문 신청
전국 주민센터: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전화 신청
ARS: 1544-3412로 전화하여 신청
발급 기간: 2025년 2월 3일부터 11월 28일까지
4. 사용 기간 및 충전일
- 사용 기간: 발급일로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 충전일:
-신규 발급자: 카드 발급 시 지원금이 충전됩니다.
-기존 이용자: 2024년에 카드를 발급받았고, 수급 자격을 유지하는 경우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2025년 지원금이 충전됩니다.
5. 사용처 안내
전국의 다양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화예술 분야
- 도서 구매: 대형 서점 및 지역 서점
- 영화 관람: CGV, 롯데시네마 등 주요 영화관
- 공연 및 전시 관람: 뮤지컬, 연극, 미술 전시회 등
국내 여행 분야
- 교통수단: KTX, 고속버스, 시외버스 등
- 숙박 시설: 호텔, 모텔, 게스트하우스 등
- 관광지 입장료: 테마파크, 박물관 등
체육 분야
- 스포츠 관람: 야구, 축구, 농구 등 프로 스포츠 경기
- 체육 시설 이용: 헬스장, 수영장 등
- 스포츠 용품 구매: 스포츠 용품점
자세한 가맹점 정보는 문화누리카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6. 온라인 사용처
문화누리카드는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온라인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서 구매: 예스24, 알라딘, 교보
- 공연 예매: 인터파크, 티켓링크 등
- 숙박 예약: 야놀자, 여기어때 등
온라인 결제는 NH페이, 네이버페이와 연동 가능합니다.
7. 잔액 조회 방법
다음 방법으로 잔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접속
- 모바일 앱에서 확인
- ARS(1544-3412) 전화 조회
-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조회
8. 재발급 절차
카드를 분실하거나 훼손했을 경우 다음과 같이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재발급 신청: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 방문 재발급: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신분증 지참 후 신청
- 전화 재발급 신청: ☎ 1544-3412
카드 유효기간 만료 전 미리 안내 문자 발송 예정
9. 주의사항
-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지원금은 자동 소멸
- 본인 충전금 사용 가능 (정부 지원금 외 최대 30만 원까지 충전 가능)
- 간편결제 연동 가능 (NH페이, 네이버페이)
10. 문화누리카드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문화예술, 국내 여행, 체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복지 카드입니다.
이를 통해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모든 국민이 풍성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란? 신청자격, 지원금, 혜택, 취업성공수당까지 총정리 (0) | 2025.02.04 |
---|---|
2025 청년도약계좌 대학생도 가능? 신청 방법 & 혜택 총정리 (0) | 2025.02.04 |
모바일 신분증 시대! 발급 방법부터 사용처까지 완벽 정리 (0) | 2025.02.03 |
연말정산 환급금,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지급일·조회방법 총정리! (0) | 2025.02.03 |
2025년 노란우산공제 세제지원 강화! 소상공인 필수 정보 총정리 (0) | 2025.02.02 |